눈 가려움증 어떻게 극복할까???
아마 많은 분들이 눈이 한 번쯤 너무 가려워서 벅벅 긁었던 경험이 있었을 텐데요. 어떤 경우는 시원하기도 하고 다른 경우는 오히려 눈이 더 가렵고 부어올라서 고생하셨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눈 안쪽이 너무 가려워서 하루 종일 손이 가는 경우도 참 많죠?
1. 첫 번째 이유는 바로 이물질
우리 눈을 보면 윗 눈꺼풀 바깥쪽에 있는 주요 눈물 중에서 주로 눈물이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눈물이 분비가 되면 눈 표면을 거쳐서 눈 안쪽에 눈물점으로 눈물이 빠져나가서 결국엔 코로 배출이 되는 그런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눈의 배수구가 여기 안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샤워를 하고 나면 배수구를 봤을 때 머리카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들이 뭉쳐서 모여 있죠?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 눈 속에 있는 여러가지 노폐물과 빠진 속눈썹 등이 여기 안쪽에 잘 모이게 됩니다.
특히 눈물점 주위에는 눈물 언덕이라고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구조상으로도 이런 노폐물들이 잘 걸리게 되고 이런 것들과 눈속에 점액 성분들이 뒤엉켜서 눈곱 형태로 뭉치게 되고 눈 안쪽을 물리적으로 자극을 하다 보니까 가려움을 잘 느끼게 되는 겁니다. 게다가 이 눈물 언덕이라는 부분은 사실 피부 조직입니다. 그래서 각종 피지샘들이 분포해서 여기에서 기름을 분비하게 됩니다. 여기에다가 속눈썹까지 나와 있는 경우도 있어서 더 가려울 수 있습니다.
여러 원인으로 인해 눈 가려움 중에서 가장 쉽게 해결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인공눈물을 냉장고에 넣어놓고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인공눈물 자체로 눈 안에 있는 노폐물을 씻어내어주는 효과가 있고 또 이것을 차갑게 해주면 진정 효과가 있어서 가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눈꺼풀 전용 세정 비누를 가지고 눈꺼풀 태를 잘 청소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2. 두 번째 이유는 바로 알러지 반응
알러지 또는 알레르기란 외부 물질에 대해서 우리 몸이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물질들은 물리적으로 눈의 가려움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눈 표면에서 알러지 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등이 있고 그 외에도 각종 음식이나 화장품 등 모든 물질이 알러지를 유발할 수가 있습니다. 만약 봄이나 가을에 주로 눈이 가볍고 힘드시다면 꽃가루나 풀 종류 등에 민감하실 수가 있고 만약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눈이 가렵고 붙는다면 집먼지, 진드기에 알러지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본인이 어떤 물질 특정 계절에 알러지가 있다고 하면 그 환경 노출을 피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겠지만 만약 그게 어렵다면 인공눈물을 더 열심히 휴대하고 다니셔야 하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갑자기 눈이 가려운데 인공 눈물 그리고 안과도 갈 수 없다면 약국에서 파는 눈 세정제로 조심스럽게 눈 세척을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우리 눈에는 일반적으로는 온찜질이 좋지만 만약 가볍다면 반대로 냉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눈이 가렵다면 아이스팩을 잠시 데워주는 것도 가려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눈 가려움을 넘어서서 이런 식으로 병적인 형태를 보이면서 가렵다면 바로 안과에 오셔야 되는데요. 보통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성분으로는 비만 세포라고 하는 알러지 관련 세포를 안정시켜주는 올로파타딘 계열을 많이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환자 상태 및 질환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더 강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눈이 언뜻 봐도 좀 이상하다 싶으면 미루지 말고 꼭 안과에 가서 정밀검사 후에 본인에게 맞는 처방을 받으시기를 권유드립니다.
3. 세 번째 이유는 바로 잘못된 안약 사용
시중에서 허가 없이 팔리는 안약들부터 처방 받아서 사용을 하고 있지만 오래된 안약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오염된 안약 그냥 본인에게 맞지 않는 안약 등 우리 눈이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 넣는 안약이 오히려 눈을 잘못 되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눈이 너무 가려운데 사용하고 있는 안약이 있으면 안약을 끊거나 교체만 해도 눈이 가렵거나 이물감이 있는 것들이 해소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까운 안과에 내원하셔서 안과 전문의와 상의 후 결정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꼭 기억하셨으면 하는 것은 눈이 가려울 때 비비면 절대 안 된다는 겁니다. 손에 묻어있는 수많은 세균과 바이러스 그리고 각종 이물질들을 친절하게 우리 눈으로 가져다 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눈을 비비는 대신에 오늘 설명드린 차가운 인공눈물 점안을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잊지 마시고 한번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위픽메디였습니다
'365일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에 발생될 수 있는 질환들 정리 및 안내 (0) | 2022.04.30 |
---|---|
평상시 착용하고 있던 안경이 어지러우신가요? (0) | 2022.04.29 |
하이푸? 배에 흉터없이 자궁을 지킬 수 있는 방법 (0) | 2022.04.27 |
코로나 생활지원금, 유급휴가비 비교 안내 및 그 외 정부지원금 (0) | 2022.04.22 |
춘곤증? 이겨내는 3가지 방법 (0) | 2022.04.20 |